KS기준에 따라 경질 0.020 W/m·k /
준불연 0.022 W/m·k 이하의 낮은 열전도율 값을
갖고 있습니다.
얇은 두께로도 강화된 단열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.
높은 치수 안정성으로 열교 없는 기밀한 시공이
가능합니다.
밀폐성이 뛰어나 습기와 물의 침투를 방지합니다.
빠른 양생 속도와 우수한 부착 성능으로 시공성이
높습니다.
준불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은 화염 노출 시 표면에 일정
규모의 탄화층이 형성되어 자기소화성을 가집니다.
열전달 감소 및 산소 유입 차단으로 화재 확산을
방지하여 안전한 건축물의 적용이 가능합니다.
종류
준불연 / 경질 / 연질 우레탄 스프레이폼
품목 구성
- A액 : 이소시아네이트(Polymeric MDI), 250kg/Drum
- B액 : 폴리올 프리믹스(Polyol Resin Premix), 230kg/Drum
구분 | 경질 우레탄 스프레이폼 | 준불연 우레탄 스프레이폼 | 비고 |
---|---|---|---|
프리발포 밀도 (kg/㎥) | 24~28 이상 | 28 이상 | KS M ISO 4898 |
열전도율(W/m·K) | 0.020 이하 | 0.022 이하 | |
압축강도(N/㎠) | 100 | 100 | |
굴곡강도(N/㎠) | 25 | 3.0이하 | |
흡수량 (g/100㎠) | 3.0 이하 | 3.0 이하 | |
난연성 | 자소성 | 준불연 |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23-24호 준불연 기준 충족 |
포름알데히드 (㎎/㎡h) | 0.02 이하 | KS M ISO 4898 | |
톨루엔 | 0.08 이하 | ||
T-VOC (㎎/㎡h) | 4.0 이하 |
※ 벽산 경질 · 준불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은 산업 표준 (KS M ISO 4898) 기준을 충족합니다.
※ 준불연 우레탄 스프레이폼은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23-24호 준불연 기준을 충족합니다.
① 시공할 면을 깨끗이 청소하고,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합니다.
② 스프레이 장비 (스프레이 건, 에어 컴프레서 등)을 점검합니다.
③ 우레탄 폼 용기를 흔들어 내부 성분을 잘 혼합합니다.
④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접착력을 높입니다.
⑤ 스프레이 건의 노즐을 원하는 시공 면에서 약 30~50cm 거리를 유지하며 일정한 속도로 움직입니다.
⑥ 얇은 층을 여러 번 뿌려 원하는 두께를 맞춥니다.
⑦ 폼이 경화될 때까지 기다립니다.
⑧ 시공된 폼을 점검하여 고르지 않은 부분이 없는지 확인합니다.
시공 준비
- 폭염 및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 제품 변색 및 변형의 원인이 되니 통풍이 잘 되는 실내에 밀봉된 상태로 보관되어야 합니다.
- 시방의 절차를 준수하지 않으면 접착력 저하, 수축 및 크랙의 품질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으니 현장 조건 확인 및 시공 준수사항을 반드시 따라야 합니다.
- 제품 운반 및 취급 시 용기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유의한다.
취급 및 시공
- 적절한 보호 장구 및 보호복 착용 후 작업을 해야합니다.
- 이액형 현장 시공형 우레탄 폼 전용 스프레이 1:1 펌프를 사용한다.
- 시공면은 깨끗이 하여 건조상태를 유지하고, 습기나 수분의 응축이 없도록 합니다.
화재 예방
- 밀폐된 공간은 강제 배기시켜 환기가 가능하도록 해야합니다.
- 스프레이 작업 시 반드시 소화 기구를 주변에 비치하여야 합니다.
- 작업 중 또는 후 폴리우레탄 폼 근처에서 화기를 사용하는 용접 작업과 절단 작업을 절대 금지합니다.
※ 동계 작업시 드럼에 히팅 및 콤프레셔에 수분제거기 장착 필수
※ 제품의 발포부피는 기온에 영향을 받아 여름에는 증가, 겨울에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.
※ 그 외 사항은 시방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